① 액체방수 시공 전 가장 유의해야 할 점은 시공 후 재료 분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정을 일체화 및 연속화 작업으로 고려하여 시공
② 바탕면 정리 후 바닥, 벽조인트,이어치기부위 등은 방수몰탈로 선 보강 후 시공
③ 바탕접착제 도포 시 모체에 충분히 함유되도록 습윤상태를 유지하면서 도포
④ 방수 시멘트 페이스트는 배합된 방수용액으로 반죽하여 도포
⑤ 화장실 코너 부위는 비노출 우레탄 방수 적용
① 시공부위는 레이턴스 및 시멘트 등의 부스러기, 기름, 흙 등 방수재의 밀착을 저해하는 불순물이 없어야 하며, 청소 완료 후 곧바로 프라이머 처리를 한다.
② PC부재를 포함한 콘크리트면에 균열이 있는 경우 에폭시 수지를 주입하고 들뜸부위는 에폭시 모르터로 보수하되, 세부 보수방법은 보수재료 및 방수재 제조업자의 관련 제품 자료에 따른다.
③ 방수시공 부위 이외의 주변은 방수재로 인해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.
④ 선 시공된 수직부 1차 우레탄에 100mm 겹치도록 2차 우레탄 도포
⑤ 조인트 실란트 보강
⑥ 우레탄 2회로 나누어 도포(바닥:도막두께 3mm이상 확인)
(1) 바탕처리
① 바탕은 청결히 하고 표면의 레이턴스, 기름, 먼지 등을 깨끗이 정리한다.
② 시공 콘크리트 표면의 Honey Comb, Form Tie Hole, Crack, Cold Joint, 목심, 번선 등은 사전에 철저히
체크하여 폭과 깊이가 최소 2cm이상 되도록 파취 후 보수한다.
③ 방수제를 시공하기 전에 모체를 물로 충분히 적셔야 하며, 표면수는 스폰지 등으로 닦어낸다.
(2) 혼합
① 다음의 비율로 고른 농도가 이루어질 때까지 일정량의 물에 방수제를 점차적으로 넣으면서 혼합한다.
방수제 : 물 = 4 : 1 [ 중량비 ]
방수제 : 물 = 25kg : 6 ~ 6.75L
② 현장 여건에 따라 혼합 비율이 변경될 수 있으나, 배합비율에 맞추어 정확히 계량하여 사용해야만 만족한
방수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.
(3) 도포
① 벽체 시공
-. 모체가 충분히 함습 되어 있나를 확인 우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빳빳한 솔을 사용하여 1차 도포한다.
흡수가 심한 바탕면은 물을 더 뿌려준다.
-. 2차 도포는 1차 도포면이 완전히 건조하기 전에 2차 도포 한다.
-. 2차 도포 후 물을 사용하지 않으며, 기포가 심하게 발생 되었을 경우 그 부위를 걷어내고 재 도포하여야 한다.
-. 수영장, 저수조 등은 시공 후 최소 7일 경과한 후 담수토록 한다.
② 바닥시공
-. 벽체 시공과 동일한 방법으로 2회 도포한 후 연속해서 보호 몰탈을 시공해야 방수층과 보호 몰탈의 접착력이 우수.
③ 컨스트럭션 조인트
-. 벽체와 바닥사이의 내부 조인트에는 방수제를 도포 한 후 흙손을 사용하여 일반 몰탈로 보호 시공한다.
-. 3cm * 3cm 정도로 흠을 내고 방수제로 충진한다.
(4) 양생 방법
① 외부 방수 시 시공 후 즉시 천막 등으로 보양 한다.
② 가능한 직사광선을 피하고 그늘에 들게 하여 2~3일간 양생 시킨다.
③ 공기 순환이 어려운 물탱크 등 밀폐된 장소에서는 환풍기를 이용하여 완전한 양생이 되도록 한다.
(5) 주의사항
① 비가 올 때 시공을 하여서는 안된다.
② 기온이 5℃ 이하 일 경우나 24시간 이내에 5℃ 이하로 떨어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시공을 금한다.
(1) 바탕처리
① 바탕은 청결히 하고 표면의 레이턴스, 기름, 먼지 등을 깨끗이 정리한다.
② 바탕면은 완전히 건조 된 후 시공한다.
③ 너무 매끄럽게 시공된 콘크리트 바닥은 도료의 부착력을 저하시키므로 샌드 페퍼 또는 염산처리 하여야 한다.
(2) 혼합
① 비율에 맞춰 고른 농도가 이루어질 때까지 배합한다.
주제 (16kg) : 경화제 (4kg) = 4 : 1 [중량비]
② 배합하면 화학반응이 일어나기 시작하여 도료는 점점 점도가 상승하여 사용할 수 없을 정도까지
가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 시간과 양을 조절 하여야 한다.
(3) 도포
① 기온이 높아졌을 때는 빨리 마르나 저온에서는 경화 반응이 현저히 지연되기 때문에, 10℃ 이하에서의 사용을 금한다.
② 일반적으로 습도가 85%이상의 조건에서의 시공은 하자 발생률이 높다.
③ 밀폐된 곳이나 통풍이 잘 안되는 장소에서의 시공시 용제나 수분의 증발이 더디기 때문에 하자 발생률이 높다.
④ 완전 경화 반응은 25℃ 기준으로 7일 이므로 7일 경과 후 물을 채운다.
⑤ 도포 조건 – 이슬점 온도 보다 3℃ 이상